전세대출 연체 시 불이익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전세 계약 만료가 다가오는데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경험하는 현실입니다. 특히 전세대출을 받은 경우라면, 대출 만기를 연장하지 못하거나 연체가 발생할 수 있어 불안감이 커지게 되죠.
이번 글에서는 전세대출 연체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처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집주인의 보증금 반환 지연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아래 핵심 내용들을 꼭 체크해 보세요.
📌 연체 시 신용점수는 바로 떨어지지 않아요
전세대출을 연체하면 당연히 신용점수가 떨어질 거라 생각하기 쉽지만, 10만 원 이상, 5 영업일 이상 연체가 되어야 금융기관에 연체 정보가 공유됩니다. 즉, 5일 이내에 상환하면 신용점수에 큰 영향은 없습니다.
단, 연체 사실이 은행 자체 시스템에는 기록될 수 있기 때문에, 차후 대출 심사 등에서는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있어요. 미리 마이너스 통장을 준비하거나 단기 자금 대출을 통해 상황을 넘기는 것도 방법입니다.
💸 연장하려면 반드시 계약을 갱신해야 해요
전세대출은 임대차계약을 근거로 한 대출입니다. 따라서 계약이 만료된 상태에서 대출을 연장하려면 반드시 임대차계약을 재체결해야 하죠.
이때 은행은 새로운 계약서를 요구하며, 갱신된 계약서를 근거로 연장 심사를 진행합니다. 단, 갱신과정에서 대출을 상환한 후 다시 실행하는 경우에는 중도상환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요. 평균적으로 1% 내외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1억 원의 보증금이라면 100만 원 수준입니다.
🧾 집주인 보증금 지연 시 연체이자 청구 가능
만약 집주인이 전세 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는다면 법적으로 연체이자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연 5% 수준의 법정이자가 적용되며, 소송을 진행할 경우 연 12%의 지연이자도 받을 수 있어요.
이 조건은 집을 비워주고 계약 종료를 증명해야 가능하므로, 꼭 퇴거 후 증빙 자료를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자 청구는 민사소송으로 진행해야 하며,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 정리하며
- 대출 연체는 5 영업일 이내 처리 시 신용도 하락 없음
- 계약 갱신 없이 전세대출 연장 불가
- 중도상환수수료 발생 가능성 주의
- 보증금 미지급 시 연체이자 청구 가능
결론적으로, 전세대출 연장은 집주인의 보증금 지급 여부와 계약 갱신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계약 종료 직전에 임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미리 해두는 것이 연체를 피하고 비용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런 상황이 처음이라면, 은행 상담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여부를 함께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06.20 - [오늘의 한 푼] - 대출 금리, 고정으로? 변동으로? 현명한 선택 가이드
대출 금리, 고정으로? 변동으로? 현명한 선택 가이드
대출 금리, 고정으로? 변동으로? 현명한 선택 가이드대출을 받을 때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부분 중 하나가 바로 '금리 선택'입니다. 대출의 금리는 크게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로 나뉘는데요, 어
todayscoin.tistory.com
'오늘의 한 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기에서 가치로, 업사이클링 굿즈의 눈부신 변신 (5) | 2025.06.22 |
---|---|
전세 한 달만 연장 가능할까? 계약·보증·현실적인 대안까지 총정리 (0) | 2025.06.22 |
대출 금리, 고정으로? 변동으로? 현명한 선택 가이드 (3) | 2025.06.21 |
육아휴직 중에도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꼭 알아야 할 연말정산 팁 (0) | 2025.06.20 |
실손보험이 있는데도 병원비를 못 돌려받는다고요? (0) | 2025.06.20 |